반응형
커밋 메시지 템플릿 설정
- 커밋 시 Git은 commit.template 옵션에 설정한 템플릿 파일을 보여준다.
- 커밋 메시지 템플릿을 지정하면 커밋 메시지를 작성할 때 일정한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다.
1. 템플릿 파일 생성하기
- .git이 있는 현재 폴더 위치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해 .gitmessage.txt 파일을 생성한다.
touch .gitmessage.txt
- 명령어 실행하면 아래 처럼 .gitmessage.txt 파일이 생성된다.
2. 템플릿 파일 작성하기
- 아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템플릿 파일에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.
방법 1: txt 파일 안에 내용 직접 작성하기
- 방금 생성한 .gitmessage.txt 파일을 클릭한 다음, 템플릿으로 사용할 내용을 복사 - 붙여넣기 한다.
방법 2: vim 이용하기
1. bash에서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편집기를 연다
vim .gitmessage.txt
2. i 키를 한 번 누르고, 템플릿으로 할 내용을 복사 - 붙여넣기 한다.
3. ESC를 한 번 누르고 :wq + Enter를 입력하여 편집기에서 나온다.
템플릿 설정하기
- 템플릿 파일을 설정해놓으면, git commit 명령을 실행할 때 지정한 템플릿 메시지를 편집기에서 매번 사용할 수 있다.
- 템플릿 파일을 설정한다는 것은 commit.template에 .gitmessage.txt 파일을 등록한다는 의미다.
- 템플릿 파일을 설정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다.
git config --global commit.template .gitmessage.txt
커밋 메시지 작성하기
- 템플릿 설정을 마친 상태에서, git add [파일명] 명령을 실행해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린다.
- 다음으로 git commit을 실행
- 템플릿 메시지가 들어있는지 확인하고 나갈 때는 :wq+Enter
- 원하는 커밋 메시지 입력 후 git push를 통해 커밋을 원경 저장소에 올릴 수 있다.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원격 브랜치 삭제 (0) | 2025.04.22 |
---|---|
Github에서 뷰 프로젝트 자동 배포하는 방법 (0) | 2025.04.08 |
git history graph 확인하기 (0) | 2024.11.04 |